본문
명언·생각정리/뉴스보이 코알라 소설

영화와 도서로 보는 서양의 역사(5)

by sunbykoala 2015. 1. 1.
반응형

Ⅰ. 序言

Ⅱ. 미국인의 일본인 인식방법

   (1) 영화 「도라도라도라」와 영화 「진주만」비교

   (2) 영화 「도라」와 다큐 「진주만의 신화」비교

   (3) 영화 「진주만」과 「신화」비교

   (4) 종래의 사무라이에 대한 인식의 허구성

   (5) 소결(小結)

 Ⅲ. 미국인의 전쟁관

   (1) 영화「도라 와 영화「진주만」비교

       - 카우보이의 필요성 제기와 탄생

   (2) 영화 「도라 와 다큐멘터리「신화」비교

       - 해군중심주의에서 공군중심주의로

   (3) 영화「진주만」과 다큐「신화」와 도서 「국화와칼」

       비교

 Ⅳ. 국제경찰개념과 진주만 그리고 한반도의 운명

    (1) 하와이 서편을 향한 카우보이의 열망 - 제2의

    서부개척

    (2) 미국헌법과 국제법적 측면에서 본

         조미수호통상조약과 가쓰라-테프트 밀약

    (3) 헤이그 평화회의 - 국제경찰개념의 실현

    (4) 오늘날에도 유효한 국제경찰개념과 천안함 사건과

         Sea of Japan 논란

 Ⅴ. 논의의 확장 ; 영화 속 현대판 카우보이

 Ⅵ. 結語

 Ⅶ. 참고문헌 및 영상

 

 

 

Ⅱ. 미국인의 일본인 인식 방법

   (5) 소결 (小結)

    미국인의 일본인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그로인해 우리의 역사적 운명이 결정되었음을 깨닫는 것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항을 논한 이유는 오늘날 사무라이 이미지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있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케가미 에이코의 「사무라이의 나라」를 보면 사무라이가 만들어진 이미지임을 어느 정도 인정한다.¹  중요한 것은 사무라이가 잘 만들어진 이미지임을 알고 우리의 과거가 영향을 받았음을 깨닫는 것이지, 그 이미지에 동화되어서는 곤란하다고 생각한다.

 

 

 

 

 

 

 

 주(註)

1. 이케가미 에이코 지음, 남명수 옮김,  「사무라이의 나라 183면 참조: 스스로에게 죽음을 부과하는 관행을 이렇게 분석해 왔지만 패배한 무사들이 전장에서 항상 자결한 것은 아니었다는 점을 확인해두자. 주군의 집안과 일체화되어 개인적인 강한 끈으로 연결되어 있던 사무라이의 경우로만 분석을 한정해보아도, 그들도 자기보존 본능을 가진 인간이기 때문에 항상 죽음을 선택할 리 없는 것이다.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죽음이라는 개념의 제도화가 가지는 상징적인 중요성이다. 중세 후기 들어 어느 특정한 경우에는 스스로에게 부과하는 죽음이 규범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이라는 문화적 찬미가 시작되었다. 이 의식적 자결은 고도화된 의식과 결합된 도덕적 미학으로 장식되었다. 그 결과 모든 사무라이가 실제로 따를리 없는 도덕규정이 문화적으로 신화화 되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