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명언·생각정리/뉴스보이 코알라 소설

영화와 도서로 보는 서양의 역사(6)

by sunbykoala 2015. 1. 1.
반응형

Ⅰ. 序言

Ⅱ. 미국인의 일본인 인식방법

   (1) 영화 「도라도라도라」와 영화 「진주만」비교

   (2) 영화 「도라」와 다큐 「진주만의 신화」비교

   (3) 영화 「진주만」과 「신화」비교

   (4) 종래의 사무라이에 대한 인식의 허구성

   (5) 소결(小結)

 Ⅲ. 미국인의 전쟁관

   (1) 영화「도라 와 영화「진주만」비교

       - 카우보이의 필요성 제기와 탄생

   (2) 영화 「도라 와 다큐멘터리「신화」비교

       - 해군중심주의에서 공군중심주의로

   (3) 영화「진주만」과 다큐「신화」와 도서 「국화와칼」

       비교

 Ⅳ. 국제경찰개념과 진주만 그리고 한반도의 운명

    (1) 하와이 서편을 향한 카우보이의 열망 - 제2의

    서부개척

    (2) 미국헌법과 국제법적 측면에서 본

         조미수호통상조약과 가쓰라-테프트 밀약

    (3) 헤이그 평화회의 - 국제경찰개념의 실현

    (4) 오늘날에도 유효한 국제경찰개념과 천안함 사건과

         Sea of Japan 논란

 Ⅴ. 논의의 확장 ; 영화 속 현대판 카우보이

 Ⅵ. 結語

 Ⅶ. 참고문헌 및 영상






Ⅲ. 미국인의 전쟁관

  (1) 영화「도라」와 영화「진주만」비교 - 카우보이의 필요성 제기와 탄생 

    앞서 본 바와 같이 영화「도라」는 일본군을 진취적이고 활기차게 그리고 있다. 그 기저에는 앞서 인용한 「국화와 칼」의 저자 루스의 생각과 상통하는 면이 있다. 즉, 태평양전쟁에서 일본은 '정신적 승리'를 하고 있었다는 생각이다. 비록 적이지만 정신적 측면에서는 본받을 것이 있다는 문제제기와 자기반성이 이 영화에 숨어있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는 '카우보이'라는 문화적 아이콘이 등장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물론 이 영화가 만들어지기 이전에 카우보이 영화는 이미 있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 영화는 카우보이와 같은 문화적 아이콘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등장하게 된 계기를 보여주는 일종의 텍스트로 받아들여져야 할 것이다.¹ 한편 영화「진주만」은 영화「도라」에서 제기된 문제제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카우보이는 이미 태평양전쟁시대에 존재했었다고 주장한다. 주인공 레이프와 데니 그리고 두리틀 대령과 부대원이 영화로 인해 신화화된 카우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 영화「도라」와 다큐멘터리「신화」비교 - 해군중심주의에서 공군중심주의로

   앞서 Ⅱ(1)항에서 본바와 같이 영화「도라」에는 일본의 공격을 미리 알았다면 미국 해군이 무참하게 당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담겨있다. 또한 영화「도라」에 나타난 미국 해군장성들은 해군중심적 사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 관념은 이미 시어도어 루즈벨트가 쓰시마 해전(1905년 5월 27일과 28일)을 분석하면서 '전쟁의 패러다임이 해군중심으로 바뀌었다'² 라고 이야기 한 것이었다. 각주2의 논문에서 지적하는 것처럼 근본적인 개념은 변하지 않았지만, 방법적인 측면에서 전쟁의 패러다임은 한 번 더 바뀌고 있었다.  이 점을 지적하는 것이 다큐멘터리「신화」이다. 다큐「신화」에서는 설령 미국이 진주만 공격을 1시간 전에 인지했다고 하더라도 일본의 제로전투기의 기술적 우위로 인해서 역사는 크게 바뀌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주(註)


1. 미국인이 얼마나 사무라이 이미지에에 영향을 받았는지는 카우보이 영화「황야의 무법자」도 잘 알려준다. 이 영화는 일본의 사무라이 영화인「요짐보」를 그대로 리메이크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2. 최정수, 조지 W. 부시 독트린의 역사적 기원 : 시어도어 루즈벨트의 안보전략 158면 참조



 

반응형

댓글